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3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36개 세 글자:9개 네 글자:29개 다섯 글자:7개 여섯 글자 이상:1개 모든 글자:83개

  • : (1)‘측간’의 방언
  • : (1)조선 시대에, 중국의 칙사를 접대하기 위한 물품을 보관하던 창고. 평안도 각 군(郡)에 두었다.
  • : (1)임금이 몸소 이름. 또는 그런 말씀이나 그것을 적은 포고문. (2)임금이 단단히 일러서 다잡거나 경계하던 지시.
  • : (1)‘칡덩굴’의 방언
  • : (1)단단히 타일러 권함.
  • : (1)임금이 옳고 그름을 가림.
  • : (1)임금이 대답함. 또는 그런 대답. (2)임금의 물음에 대답함. 또는 그런 대답.
  • : (1)임금이 내린 명령.
  • : (1)중국 청나라 때에, 종합 법전인 ≪대청회전≫을 보완하기 위하여 만든 문서. 법을 적용할 때 생긴 신례(新例), 의의(疑義), 보족(補足) 따위를 각 관아에서 모아 편집한 것이다.
  • 릿 : (1)젊은 여성의 삶과 취향을 다룬 문예물.
  • : (1)임금이 내린 명령.
  • : (1)임금이 물음. 또는 그런 물음.
  • : (1)몸에 칡덩굴 같은 어룽어룽한 줄무늬가 있는 범. ⇒규범 표기는 ‘칡범’이다.
  • : (1)임금의 명령으로 작위를 봉하던 일.
  • : (1)임금의 명령을 전달하는 사신.
  • : (1)‘칙살하다’의 어근. (2)잘고 더러운 태도.
  • : (1)‘책상’의 방언
  • : (1)임금이 특정인에게 훈계하거나 알릴 내용을 적은 글이나 문서.
  • : (1)칙명의 선지(宣旨). (2)임금이 몸소 뽑음. 또는 칙명으로 뽑음.
  • : (1)‘치수’의 방언
  • : (1)임금이 직접 글자를 쓴 편액(扁額).
  • : (1)임금이 몸소 이름. 또는 그런 말씀이나 그것을 적은 포고문.
  • : (1)임금이 몸소 이름. 또는 그런 말씀이나 그것을 적은 포고문.
  • : (1)임금의 명으로 벼슬을 시킴. 또는 그 벼슬.
  • : (1)임금이 옳고 그름을 가림.
  • : (1)칙명으로 지내는 제사. (2)임금이 출제한 시문의 제목.
  • : (1)임금이 특정인에게 훈계하거나 알릴 내용을 적은 글이나 문서.
  • : (1)임금이 내린 명령.
  • : (1)임금의 명령을 전달하는 사신.
  • : (1)임금이 몸소 시가나 글을 지음. (2)칙명에 따라 책을 엮음. 또는 그 책.
  • : (1)김 따위가 좁은 구멍이나 틈으로 잇따라 거칠게 새어 나오는 소리. (2)물방울이 뜨겁게 달구어진 물체에 잇따라 떨어지는 소리. (3)‘칙칙하다’의 어근.
  • : (1)‘측간’의 방언
  • : (1)외국 프로 레슬링에서, 상대의 얼굴을 공격하는 기술의 하나. 몸을 옆으로 틀면서 발을 높이 뻗어 상대의 얼굴을 때린다.
  • : (1)임금이 몸소 쓴 글씨.
  • : (1)칙명을 전달하는 사신의 행차.
  • : (1)임금이 허가함. 또는 그런 허가.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차, 착, 찬, 찰, 참, 찹, 찻, 창, 채, 책, 챌, 챔, 챙, 처, 척, 천, 철, 첨, 첩, 첫, 청, 체, 첵, 첸, 쳇, 쳐, 쳔, 쳘, 초, 촉, 촌, 촐, 촙, 총, 촨, 최, 쵸, 추, 축, 춘, 춝, 춤, 충, 췌, 취, 츠, 측, 츩, 츰, 츳, 층, 츼, 치, 칙, 친, 칠, 칡, 침, 칩, 칭, 칰

실전 끝말 잇기

칙으로 끝나는 단어 (1,604개) : 흑화 법칙, 현지성의 원칙, 통화 정책 준칙, 개별 보상의 원칙, 상호 호혜 원칙, 생체 원칙, 다수반칙, 질소 규칙, 베버의 법칙, 상사 생육의 법칙, 하트위크 법칙, 뉴턴의 냉각 법칙,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 불규칙, 직접 운송 원칙, 추심 통일 규칙, 동등 희생의 원칙, 비례성 원칙, 자산 평가 원칙, 신칙, 탄력성의 원칙, 연산자 결합 법칙, 국제 협력의 원칙, 오차 법칙, 선택 법칙, 경험 법칙, 국적 자유의 원칙, 방사 휘도 보존 법칙, 나역등칙, 윈드 시어 지수 법칙 ...
칙으로 끝나는 단어는 1,604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칙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3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